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박성호 하나은행 부행장(자산관리그룹장)[인포스탁데일리=박효선 기자] 하나은행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판매한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만들어
박성호 하나은행 부행장(자산관리그룹장)
{1}
[인포스탁데일리=박효선 기자] 하나은행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판매한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하나은행 종합검사에 돌입했다.
{1}
박성호 하나은행 부행장은 13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그런 식(OEM펀드)으로 비춰진 점에 대해 송구스럽다”며 “12일부터 금융감독원 조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박 부행장은 “판매사 관점에서 시장 수요나 동향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면서 “TRS(총수익스와프)를 제공하는 증권사가 적극적으로 영업을 하면서 실질적인 상품구조 등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이 판매한 헬스케어펀드는 OEM펀드 의혹과 함께 부실을 감추기 위해 돌려막기 한 정황도 포착됐다.
우선 헬스케어펀드를 통해 ‘한남어드바이저스’라는 회사가 4%에 달하는 수수료를 떼 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남어드바이저스’는 헬스케어펀드 투자 상품 설명서에 나오지 않는다.
특히 국내에서 모집한 자금들로 채권을 떠안는 방식의 ‘폰지 사기’가 이뤄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제공=배진교 정의당 의원실
국회 정무위원회 배진교 정의당 의원이 입수한 삼일회계법인의 이탈리아 현지실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남어드바이저스’는 이탈리아 현지 운용사를 연결시켜주는 고리로 4%에 달하는 판매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사인 하나은행의 수수료가 1.2%, 국내 자산운용사의 수수료가 0.16%라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수료다.
헬스케어펀드 만기는 25~37개월로 설정됐지만 사실상 6~7년의 시간이 지나야 받을 수 있는 매출채권들이 섞여 있고, 이마저도 시장 할인율(15~25%)보다 높은 가격(평균 할인율 7~8%)에 사들인 것으로 파악됐다.
제공=배진교 정의당 의원실
헬스케어 펀드는 이탈리아 병원들이 지역정부에 청구할 진료비 매출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미국계 자산운용사인 CBIM이 채권을 할인 매입한 뒤 지방정부에 청구하는 구조다.
투자설명서에는 이탈리아 진료비 매출채권을 전문으로 관리하는 ESC그룹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ESC그룹의 실질적인 역할은 불투명하다. 대신 미국계 자산운용사 CBIM과 ‘한남어드바이저스’가 불량채권 매입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
배진교 의원은 “이 같은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투자설명서에 존재하지 않는 한남어드바이저스라는 제3의 회사를 만들고 조세회피처인 버진 아일랜드에 SPV(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는 등 투자자의 손실을 애초에 전제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실제 하나은행은 3월 실사 이후 펀드 회수가 쉽지 않고 운용상 문제점이 많다는 것을 파악했음에도 이를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사 보고서는 펀드 자산 회수 가능성이 적은 채권 비율이 60.3~99.9%에 달한다고 평가했지만 하나은행은 회수 불가능 비율이 이보다 현저히 낮다고 표기했다.
배 의원은 “하나은행은 현지 실사 이후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도 투자자들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지 않고 문제를 축소하려한 것이 아니냐”면서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는 불완전 판매가 아닌 사기판매의 성격이 짙다”고 보았다.
그는 “해외 시장으로 투자되는 사모펀드에 대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안전 장치와 내부통제 마련이 필요하다”며 “하나은행이 해당 펀드를 기획하고 판매한 의혹(OEM펀드)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금감원은 하나은행에 대한 종합검사에서 해당 펀드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조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18}
박효선 기자 hs1351@infostock.co.kr
{18}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