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By Jeongyeon Han/Investing.com Investing.com - 치킨 관련 종목들은 대표적인 팬데믹 수혜주다. 치킨 프랜차이즈의 배달 및 포장 비율은 2020년
By Jeongyeon Han/Investing.com
Investing.com - 치킨 관련 종목들은 대표적인 팬데믹 수혜주다. 치킨 프랜차이즈의 배달 및 포장 비율은 2020년 3월 이전에도 80%에 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사실상 종료되면서 치킨업계의 대표주인 교촌치킨의 2분기 실적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팬데믹 배달 특수가 점차 사라지고 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비용이 늘고 있으며, 교촌의 신사옥 건립 등 투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금융 데이터 분석회사 에프앤가이드는 20일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 (KS:339770)의 올해 2분기 매출이 전분기보다 1.9% 증가한 1337억원,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12.6% 감소한 7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교촌에프앤비는 2019년 매출 3801억원, 2020년 매출 4476억원, 2021년 매출이 5076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올해 1분기부터 성장세가 주춤해졌다.
교촌에프앤비의 1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5.9% 상승한 1312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20.2% 줄어든 87억원을 기록했다. 육계 시세가 사료 값 상승 등으로 크게 오른 게 주요 원인이다.
원자재 값 상승은 올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 식용유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톤당 평균 284달러였던 국제 밀 가격은 지난 4월 평균 391.84 달러를 기록했다.
식용유의 원료가 되는 팜유의 대표적인 생산국가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유통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팜유 원재료 등의 수출을 중단하기도 했다.
교촌에프앤비 주가는 20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전장보다 5.58% 하락한 1만1850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 회사 주가는 올 들어서 26.85% 하락했다.
육계 사육 및 가공을 하는 하림 (KQ:136480)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큰 폭의 주가 상승세를 보였지만, 최근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하림 주가는 이날 전장보다 8.01% 하락한 3095원을 기록했다. 최근 6개월 동안 이 회사 주가는 12.14% 상승했지만, 최근 1개월 동안 10.95% 빠졌다.
육계 제품 생산업체인 마니커 (KS:027740)는 이날 전장보다 4.99% 하락한 1620원에 거래되고 있다. 마니커 주가는 올 들어서 37.29% 상승했지만, 최근 1개월 동안은 6.63% 하락했다.
닭고기 생산, 가공, 판매 업체인 체리부로 (KQ:066360)는 이날 3.92% 내린 1225원에 거래중이다. 체리부로 주가는 올 들어서 16.95% 하락했다. '맛있닭' 등 21개 브랜드를 운영중인 푸드나무 (KQ:290720)는 이날 전장보다 5.21% 하락한 2만2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푸드나무 주가는 올 들어서 28.68% 하락했다. 닭고기 생산업체인 동우팜투테이블 (KQ:088910)은 이날 3.72% 하락한 2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동우팜투테이블은 올 들어서 7.62% 하락했다.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